경력단절 여성 지원 강화…직업교육훈련 확대 및 고용 유지 장려금 지급
[피앤피뉴스=마성배 기자] 여성가족부가 13일 전국 17개 시·도 및 시·군·구 양성평등 정책 담당 공무원이 참여하는 ‘2025년 지자체 양성평등 정책 담당자 공동연수(워크숍)’를 개최한다. 이번 연수는 2025년 양성평등 정책의 추진 방향을 공유하고, 지자체와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공동연수에서는 지자체에서 추진 중인 양성평등 정책과 관련한 안내와 질의응답이 진행된다.
여성가족부는 양성평등 문화 확산을 위해 공공부문 양성평등 조직문화 조성 사업, 성별영향평가 제도, 지역 성평등 지수, 여성친화도시 조성사업 등에 대한 설명을 제공할 예정이다. 특히, 올해부터는 공공부문 양성평등 조직문화 조성 사업의 지원 대상을 기존 중앙부처와 지자체, 공공기관에서 공직유관단체까지 확대했다.
또한, 성별영향평가 제도의 운영 방식도 개선된다. 정책 수립 및 시행 과정에서 성평등 영향을 분석하는 이 제도는 자가진단 체크리스트를 확대 보급해 현장 행정 부담을 완화한다. 올해부터는 기존 일자리사업, 도서관사업뿐만 아니라 공중화장실 설치·관리 사업까지 적용 범위를 넓혔다.
이번 연수에서는 여성의 경제활동 촉진과 조직 내 성별 다양성 확대 방안도 논의된다. 기업 맞춤형 다양성 교육을 통해 인사 담당자와 최고경영자를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며, 실질적인 조직문화 개선을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지역 중소기업의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여성가족부와 지자체, 지역 경제단체가 협력해 나갈 예정이다.
여성 인재풀 확충도 중요한 과제 중 하나다. 여성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의사결정 과정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여성 인재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고, 지자체는 이를 활용해 위원회 등에 여성 인재를 추천하는 방식으로 협력한다. 여성 인재풀은 2015년 78,960명에서 2024년 171,230명으로 확대됐다.
경력단절 여성의 경제활동 지원도 강화된다. 고부가가치 직업교육훈련 과정은 기존 79개에서 93개로 확대되며, 새일여성인턴이 정규직으로 전환된 후 12개월 근무 시 기업에 최대 460만원의 고용유지장려금을 지원한다. 또한, 지역별 핵심 산업을 기반으로 한 직업교육훈련 과정을 확대해 지자체별 맞춤형 지원을 추진한다.
조민경 여성가족부 여성정책국장은 “이번 연수를 통해 지자체 담당자들과 양성평등 정책 추진 방향을 공유하고, 실효성 있는 정책이 현장에서 정착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며 “공공부문 양성평등 조직문화 조성과 여성 경제활동 촉진 정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