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보행일상권 개념도(서울시 제공) |
[피앤피뉴스=마성배 기자] 서울시가 도보 30분 이내에서 여가, 돌봄, 공공서비스까지 누릴 수 있는 자족형 생활권, 이른바 ‘보행일상권’ 구축에 본격 착수했다. 이를 위해 시는 8개 지역을 시범사업 대상으로 선정하고, 올해 9월까지 맞춤형 조성계획 수립과 제도화 기준 마련에 착수한다.
‘보행일상권’은 멀리 이동하지 않고도 주거지 인근에서 다양한 활동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도시공간 개념으로, 서울시의 미래도시 전략인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에서 제시된 핵심 과제다. 이번 시범사업은 서울형 보행일상권 조성을 위한 실질적 기준을 수립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이번에 시범사업 대상으로 선정된 지역은 ▲평창‧부암(종로) ▲금호‧옥수(성동) ▲청량리(동대문) ▲신길(영등포) ▲정릉(성북) ▲수유(강북) ▲홍제(서대문) ▲양재(서초) 등 총 8곳이다. 선정은 도시균형 발전과 지역 특성 반영을 위해 전문가 중심의 선정위원회 평가를 통해 이뤄졌다.
시는 이들 지역에 대해 ▲역세권 등 주요 거점을 중심으로 한 일상권 조성 방안 ▲보행권 내 필수시설 확충 방안 ▲접근성을 고려한 생활가로 네트워크 설계 등의 내용을 담은 조성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향후 이 계획은 전 서울로 확대 적용되며, 도시관리계획, 정비사업, 역세권 개발 등 다양한 도시개발 사업의 기준으로도 활용된다.
이번 계획 수립의 기초가 된 ‘보행일상권 필수시설’ 목록에는 생활편의, 공공‧의료, 여가, 돌봄 등 7개 분야 40여 개 시설이 포함된다.
시는 지난 2023년부터 국내외 ‘n분도시’ 개념을 반영한 용역을 통해 이를 도출했으며, 서울시가 자체 보유한 도보 네트워크 공간정보를 활용해 시설 접근성도 정밀 분석할 예정이다.
또한 향후에는 지역별 인구 특성을 고려한 분석기법도 함께 도입될 예정이어서, 영유아 밀집 지역에는 어린이집이나 소아과, 고령 인구가 많은 지역엔 경로당이나 복지시설이 우선 배치되는 방식의 맞춤형 생활권 설계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시설 공급 방식은 공공시설의 경우 기부채납이나 기금 활용 등으로, 민간시설은 지구단위계획 내 권장 용도 설정을 통해 유도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이번 시범사업은 서울형 보행일상권을 구현하기 위한 첫걸음”이라며, “앞으로 100개 이상의 ‘작지만 강한’ 자족형 생활권을 서울 전역에 조성해 시민 일상의 질을 실질적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피앤피뉴스 /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