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 관계부처 합동「2020 공공부문 균형인사 연차보고서」 발간
[공무원수험신문, 고시위크=이선용 기자] 중앙부처 여성 고위공무원 수가 19.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방자치단체의 과장급 여성 비율도 19.1% 늘었고, 중앙·지자체의 장애인 고용률은 법정 기준을 초과 달성했다.
정부는 양성평등·장애인·지역인재·저소득층·이공계 등 균형인사 분야별 통계를 한눈에 볼 수 있는 「2020 공공부문 균형인사 연차보고서」를 16일 발간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차보고서는 2019년도 기준의 정부 균형인사 정책을 객관적으로 분석한 것으로, 정부 균형인사 정책을 총괄하는 인사혁신처(처장 황서종)가 정책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지난 2018년부터 발간하고 있다.
특히 작년에 처음 지방자치단체 통계가 포함된 것에 이어, 올해는 339개 공공기관의 기관별 균형인사 통계를 담았다.
먼저, 2019년 우리나라 여성 공무원은 52.6만 명으로 전년(50.7만 명) 대비 19,673명이 증가해 전체 공무원의 47.3%를 차지했다.
특정직의 경우 외무공무원의 여성 비율이 2018년 36.7%에서 2019년 38.9%로 2.2%p 늘어나는 등 증가 폭이 가장 켰다.
여성 검사 비율도 2018년 30.4%를 기록, 처음으로 30%를 돌파한 이후 2019년 31%로 증가했다.
또한, 2019년 중앙부처 여성 고위공무원 수는 122명으로 전년도 처음 세 자릿수(102명)를 기록한 이후 19.6%가 늘었다.
여성 지방 과장급(5급 이상)은 4,325명으로 전년(3,631명) 대비 19.1%, 공공기관의 여성 임원(기관장, 이사, 감사) 수는 772명으로 19.3% 상승했다.
공공부문 장애인 고용률도 지속해서 상승했다. 특히 의무고용률이 2018년 3.2%에서 3.4%로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중앙·지자체의 장애인 고용률은 각각 3.56%, 3.99%로 법정 기준을 초과 달성했다.
중앙부처와 공공기관의 장애인 신규채용도 지속해서 증가했다. 국가직 공무원의 경우 2019년 신규채용인원은 329명으로 전년 대비 42명 증가하였고 이 중 25명은 중증장애인 경력 채용을 통해 선발했다.
공공기관의 경우 2019년 773명을 선발하여 저년 대비 104명이 증가했다. 반면, 지방직 공무원의 경우 2019년 475명을 선발해 전년(484명) 대비 소폭 감소했다.
지역인재와 저소득층 등 사회통합형 인재 선발도 확대되고 있다. 지역인재 채용은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로, 국가직 선발은 총 350명(7급 140명, 9급 210명)으로 전년 대비 40명 증가했고, 지방직 9급 기술계고 채용은 2019년 309명으로 전년 대비 70명 확대됐다,
저소득층 구분모집의 경우 지방직은 2018년 592명, 2019년 605명을 선발했으며, 국가직은 선발예정 인원의 지속적 확대에도 불구하고 2019년 133명을 선발해 전년(137명) 대비 소폭 감소(4명)했다.
정부 내 과학기술 분야 대표성도 개선되고 있다. 지난해 중앙부처 고위공무원 중 이공계 비율은 22.5%, 5급 신규채용 이공계 비율은 32.7%로 ’18년 대비 각각 0.4%p 증가했다.
같은 기간 지자체 5급 이상 이공계 공무원 비율 역시 45.0%로 전년 대비 1.2%p 증가했다.
인사혁신처 황서종 처장은 “균형인사 연차보고서를 통해 지난해부터 본격 추진된 범정부 균형인사 정책의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라며 “통계에 기반을 둔 객관적인 분석을 바탕으로 정책 발전방안을 지속해서 모색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