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 최대 1억4,500만원까지 인상, 처우 수준 현실화
수시채용→정기채용 전환으로 채용 시기 예측가능성↑
[공무원수험신문, 고시위크=김민주 기자] 서울시가 만성적인 의료인력 부족문제를 해소하고 양질의 공공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우수 의료인력 유치에 나선다.
김태균 서울시 행정국장은 “공공의료 현장에선 만성적인 의료인 부족 문제를 겪고 있다”라며 “서울시는 우수한 공공 의료인력 유치에 적극적으로 투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올해부터 공공의사의 채용과 처우를 전면 손질하는 것이 핵심이다.
채용 방식은 의료기관별 수시채용에서 연 2회(상‧하반기) 정기 채용으로 전환한다. 보수도 올해 신규채용부터 최대 40% 인상(최대 1억4,500만 원)해 현실화한다. 연봉 책정도 진료과목별, 경력별로 차등을 두는 방식으로 개선해 의료진 처우를 획기적으로 개선한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올해 첫 정규채용으로 시립병원, 보건소 등의 수요조사를 통해 공공의사 26명을 신규 채용할 예정이다.
올해 공공의사 채용에서 달라지는 것은 ‘채용방식’과 ‘보수’ 두 가지다.
채용방식은 각 의료기관별로 결원이 발생하면 수시 채용하던 방식에서 서울시 인재개발원에서 정기적으로 일괄 채용하는 방식으로 전환해 응시자들이 채용 일정을 미리 예측하고 사전에 준비할 수 있도록 한다.
보수는 기존보다 연 6백만 원~5천5백만 원씩 인상(최대 40%)되고, 연봉책정도 진료 과목과 상관없이 근속연수를 기준으로 하던 방식에서 진료 과목별, 경력별로 차등 적용된다. 전문의 연봉은 진료과목에 따라 1억1천만 원~1억4천5백만 원, 일반의 연봉은 7천7백만 원~1억2백만 원이다.
특히, 시립병원별 특수‧중점 진료 분야는 연봉 책정 기준 하한액의 150%~200%를 적용해 기존 보수보다 최대 5천5백만원이 인상된다. 기존에는 신규채용시 진료과목의 특성을 반영하지 않고 연봉책정 기준하한액의 110~120%를 일괄적으로 적용해 우수한 의료인력을 유치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올해 첫 정기채용을 통해 시립병원 등 9개 기관 11개 분야 공공의사 26명(전문의 17명, 일반의 8명, 한의사 1명)을 모집한다.
응시자는 희망하는 기관을 지정해 응시할 수 있으며, 최종 선발된 의사들은 6~7월부터 근무를 시작한다. 근무예정기관(인원)은 ▲서북병원(8) ▲어린이병원(4) ▲은평병원(6) ▲강북구 보건소(1) ▲마포구 보건소(1) ▲영등포구 보건소(3) ▲동작구 보건소(1) ▲서대문구 보건소(1) ▲소방재난본부(1)이며 임용분야(인원)로는 구급지도과(1), 결핵과(1), 재활의학과(3), 감염내과(1), 신경과(2), 정신건강의학과(8), 영상의학과(2), 일반의(4), 당직의(2), 한의사(1), 서대문구 보건소 의약과장(1)이다.
한편, 응시원서는 4월26일(월)~28일(수) 서울시 인재개발원에 우편(등기)으로 접수하면 된다. 자세한 내용은 서울시청 및 서울시 인재개발원 홈페이지(https://hrd.seoul.go.kr), 서울시 인터넷원서접수센터(https://gosi.seoul.go.kr), 의사 전용 커뮤니티 메디게이트(www.medigate.net)에 게시된 공고문을 확인하면 된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