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수험신문, 고시위크=이선용 기자] 더 나은 경찰을 만들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경찰청은 25일 향후 경찰의 미래 치안전략 마련을 위한 「경찰미래비전위원회」 발족식을 개최하고, 이광형 위원장(카이스트 총장) 등 각 분야 전문가 15명을 위원으로 위촉했다고 밝혔다.
경찰청은 그간 경찰을 둘러싼 치안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지속적인 중장기 치안전략 마련에 노력해 왔다.
그러나 근래 인공 지능, 확장가상세계, 블록체인 등 과학기술의 발전이 치안의 영역을 급격히 확장 시키고, 새로운 위협의 증가를 초래하고 있다.
이에 경찰청은 “저출산・초고령・다문화 등 사회구조 변화와 코로나 세계적 유행으로 인한 화상 대면・디지털 전환의 가속화 등 치안환경 변화의 속도와 진폭이 이전과는 비교할 수 없게 큰 폭으로 변모하고 있어 미래치안 전략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고민과 논의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경찰 내부의 시각을 벗어나 국민과 전문가의 시각에서 현재 경찰의 치안역량을 진단하고, 향후 경찰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 민간전문가로 구성된 「경찰 미래비전위원회」를 구성했다”라고 덧붙였다.
경찰 미래비전위원회는 △과학기술 △사이버 위협 △인재양성 등 분야별로 경력과 성과 등이
인정된 명망 높은 인사들이 두루 참여하고 있다.
위원별로 전문성 등을 고려하여 「뉴노멀 치안」·「조직구조 혁신」의 2개 분과로 나누어 활동하게 된다.
「뉴노멀 치안」 분과에서는 ‘인공지능・빅데이터・자율주행 등 새로운 기술을 활용한 과학치안
구현방안’과 함께 ‘기술 발전・사회환경 변화가 초래하는 새로운 위협에 대한 대응’, ‘기술과 인권, 디지털 윤리 등’에 대한 논의가 이우러질 예정이다.
또 「조직구조 혁신」 분과에서는 경찰의 미래적응력을 높이고, 최상의 치안역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인재양성 및 교육시스템 △창의적 연구개발 체계 △미래형 조직체계 개편 등이 주제로 다뤄질 예정이다.
한편, 경찰청과 미래비전위원회는 올해 6월까지 「경찰 미래비전」 종합계획을 마련하여 최종 발표하는 것을 목표로, 정기·수시 회의 등을 개최하고 실천과제를 구체화하여 정책 의제를 찾을 예정이다.
또 수립된 계획은 향후 경찰 활동 관련 △법·제도 정비 △치안 장비 개발 △각종 중기계획 수립 등을 토대로써 활용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