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앤피뉴스 - [문학의 향기] 어느 해 가을

  • 구름조금상주24.6℃
  • 맑음전주26.0℃
  • 맑음세종25.0℃
  • 구름많음통영25.4℃
  • 맑음고흥24.8℃
  • 구름많음북창원25.4℃
  • 맑음강릉24.7℃
  • 맑음양평24.3℃
  • 구름많음포항23.6℃
  • 맑음영주23.0℃
  • 맑음제천21.8℃
  • 맑음정선군22.2℃
  • 구름많음거제24.9℃
  • 맑음충주24.5℃
  • 구름많음남해25.0℃
  • 구름많음합천23.3℃
  • 맑음보은23.6℃
  • 구름조금광양시25.1℃
  • 맑음원주26.4℃
  • 맑음속초22.6℃
  • 맑음대관령17.8℃
  • 구름조금안동26.0℃
  • 맑음철원24.3℃
  • 맑음순천23.1℃
  • 맑음의령군23.3℃
  • 맑음보령24.6℃
  • 구름많음북부산25.6℃
  • 구름많음대구23.9℃
  • 맑음산청23.2℃
  • 맑음파주22.5℃
  • 맑음청송군23.1℃
  • 맑음북춘천23.7℃
  • 맑음순창군24.6℃
  • 맑음영월23.2℃
  • 맑음대전26.0℃
  • 맑음부안25.5℃
  • 맑음영덕22.6℃
  • 맑음이천23.2℃
  • 맑음정읍25.8℃
  • 구름조금완도25.2℃
  • 맑음추풍령21.2℃
  • 구름많음창원25.3℃
  • 구름조금경주시23.6℃
  • 맑음고창25.7℃
  • 맑음북강릉21.7℃
  • 구름조금보성군24.4℃
  • 맑음홍천22.6℃
  • 맑음해남25.4℃
  • 구름많음김해시24.5℃
  • 구름조금성산25.2℃
  • 맑음진도군24.6℃
  • 구름조금서귀포27.0℃
  • 맑음봉화23.4℃
  • 구름조금진주24.1℃
  • 맑음인천27.7℃
  • 맑음광주26.0℃
  • 구름많음의성25.1℃
  • 맑음구미23.6℃
  • 맑음고창군25.1℃
  • 구름많음밀양25.8℃
  • 맑음백령도22.9℃
  • 구름많음제주26.1℃
  • 맑음동해23.3℃
  • 맑음목포25.8℃
  • 맑음흑산도24.0℃
  • 맑음서청주24.3℃
  • 맑음인제20.0℃
  • 맑음동두천24.4℃
  • 맑음천안23.8℃
  • 맑음함양군23.5℃
  • 맑음영광군25.1℃
  • 맑음춘천24.3℃
  • 구름많음양산시25.9℃
  • 맑음금산23.4℃
  • 구름조금울릉도22.6℃
  • 구름많음문경23.6℃
  • 구름조금거창21.8℃
  • 구름많음울산23.5℃
  • 구름많음여수25.6℃
  • 맑음강진군26.1℃
  • 구름조금영천22.9℃
  • 맑음장수21.6℃
  • 맑음서산25.0℃
  • 맑음임실24.5℃
  • 흐림부산25.6℃
  • 맑음장흥24.3℃
  • 맑음청주28.3℃
  • 맑음태백20.0℃
  • 맑음서울28.0℃
  • 맑음울진23.0℃
  • 맑음남원25.3℃
  • 맑음군산26.4℃
  • 맑음수원26.3℃
  • 맑음부여24.6℃
  • 맑음강화21.0℃
  • 맑음홍성25.7℃
  • 구름많음고산24.9℃

[문학의 향기] 어느 해 가을

피앤피뉴스 / 기사승인 : 2023-02-07 10:48:40
  • -
  • +
  • 인쇄

 

어느 해 가을
 
▲ 이현실
휘파람 소리를 내며 바람이 분다. 마름달 11월이 고추잠자리 등을 타고 왔다. 한 톨의 곡식도 천근의 무게로 익어 가는 계절, 내 몸의 에너지가 어디서 왔는가 생각한다. 가을볕 속에 시간은 너무 짧고 공간은 너무 깊은 것처럼 보인다.
울긋불긋 물든 단풍잎은 인공 연못 위에 유화 한 폭을 그려놓았다. 보름달을 가로지르는 기러기 떼에서 먼 그리움의 날갯짓 소리가 들려온다. 산다는 것은 그리움을 쌓는 것이다. 홀로 떨어지는 잎새도 사랑이었음을 알게 된다. 가을 낙엽처럼 인생도 과거와 추억이 쌓여 고즈넉한 현재가 된다. 해마다 되풀이되는 자연의 순환 앞에 무엇 하나 제대로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미완으로 남아있는 스스로를 뒤돌아본다. 부끄럽다.
오돌토돌 점자처럼 박힌 보도블록 위를 걸어간다. 가로수 변에는 노랗게 물든 은행나무가 양옆으로 도열하듯 서 있다. 바람이 불 때마다 단풍잎들이 나풀나풀 떨어져 내린다. 나뭇잎 하나를 주워든다. 부챗살 같은 이파리를 팽그르르 돌려본다.
 
가을이 되면 못내 생각나는 이름 있다. 까무잡잡한 얼굴에 살짝 주근깨가 얹혀있던 친구. 다박머리가 어깨 위에 찰랑거리던 중학생 시절, 문예반에서 함께 활동하던 단짝 친구 추자秋子다.
어느 해의 늦가을 오후, 하얀 새러 복에 주름 잡힌 교복 치마를 입고 교문을 향해 걷고 있었을 때였다.
잘 말린 한 무더기 건초를 태우는 것 같은 구수한 냄새가 바람에 솔솔 묻혀왔다. 늦은 저녁 무렵 시골 길 둑을 걸어갈 때 두엄 냄새에 묻혀 피어오르던 정겨운 그 냄새…. 추자와 나는 약속이나 한 듯 동시에 두 눈이 마주쳤고 책가방을 덜렁거리며 운동장을 가로질러 키 큰 플라타너스 나무 밑으로 후다닥 뛰어갔다.
그날 우린 국어 시간에 이효석의 <낙엽을 태우면서>란 수필을 공부했고 거의 여러 단락의 문장을 줄줄 외우다시피 심취해 있었다.
-“낙엽 타는 냄새같이 좋은 것이 있을까. 갓 볶아낸 커피 냄새가 난다. 갈퀴를 손에 들고 어느 때까지 연기 속에 우뚝 서서, 타서 흩어지는 낙엽의 산더미를 바라보며 향기로운 냄새를 맡고 있노라면 별안간 맹렬한 생활의 의욕을 느끼게 한다.” 지금도 잊을 수 없는 심오한 철학적 사고를 주는 문장이다.
 
떠꺼머리 노총각이었던 호랑이 체육 선생님이 쇠스랑으로 부지런히 낙엽을 긁어모으고 있었다. 빛바랜 플라타너스 잎들이 동그랗게 회오리를 일으키며 운동장을 이리저리 쏠려 다녔다. 어느 누가 시키지도 않았는데 우린 교복 치마에 수북이 낙엽을 끌어 담았다. 가는 연기가 푸석푸석 새 나오는 가랑잎 위에 하르르 쏟아 부었다. 불꽃이 사그라질듯하면 작은 나뭇가지를 쑤석거려 후우! 하고 입김을 불어넣었다. 불꽃은 금세 화들짝 놀라는 아이처럼 타닥타닥 맹렬히 타올랐다.
 
 
 
또 한 차례 바람이 불자 은행잎들이 후드득쏟아진다. 십일월의 금빛 노을 속에서 부서져 내리는 조락凋落의 아름다움. 떨어지는 것의 슬픔이 이처럼 찬란할 수가 있을까?
지난 시간들이 해일처럼 밀려온다. 떼어 내도 떼어 내도 자꾸만 분열하는 아메바처럼 언제나 실패하고 미완인 내 모습이 싫어서 왜 나만 이래야 하느냐고 소리치고 싶었던 시간이 있었다.
은행나무는 내게 조곤조곤 말한다.
뇌성벽력 치던 한 여름 밤 폭우 속에서 쓰러지지 않기 위해 잔뿌리를 거머쥐던 완강함을. 가지마다 주렁주렁 열매를 매달고 한낮의 뙤약볕에 하아! 하아! 뜨거운 숨 몰아쉬며 수액을 감아올리던 많은 날의 인내를. 진눈깨비 몰아치던 혹한에도 새봄을 노래하던 뿌리 깊은 나무의 시간들을! 生으로 그저 얻어지는 것은 하나도 없다는 것을…
자연의 섭리를 역행하지 않고 순리에 몸을 맡기며 묵묵히 견뎌온 은행나무의 한 생을 보라! 인간의 모습과 하등 다를 바가 없다. 그것은 자연의 법칙을 순행하는 가장 아름다운 축복이지 않은가.
가슴에 그렁그렁 맺혀있던 욕망의 등짐을 잠시 은행나무 밑에 부려놓는다. 약동하는 푸른 시절에는 보이지 않던, 이제 스스로 거름이 되어갈 은행나무의 소멸하는 조용한 슬픔을 바라보고 있다. 비우고 거둬낸 자에게서만 느끼는 건강한 향기다.
 
가을이 부려놓은 낙엽 소리를 듣는다. 겸손한 자세로 물든 낙엽을 바라보면서 삶의 소박한 진리를 알아낸다면 참 좋겠다고 생각해본다. 오늘의 내 모습도 세심히 살펴보게 되며 다른 이의 삶에 대한 관심도 생겨지지 않을까.
누구나 가슴에 지니고 사는 그리움, 산다는 것은 그리움을 쌓는 일이 아닐까. 낙엽 태우는 냄새 속에 묻어나는 잊을 수 없는 이름 추자秋子와 함께 가을 속으로 천천히 걸어간다. 긴 내 그림자도 따라나선다.
 
이현실 작가
한국예총「예술세계」수필 등단(2003) 「미래시학」시 등단
시집「꽃지에 물들다」「소리계단」「챗-GPT에 시를 쓰지 않는 이유」
수필집 「그가 나를 불렀다」외 1권. 공저「3인의 칸타빌레」외 100여 권
현 계간「미래시학」주간. 도서출판「지성의 샘」주간
한국농촌문학상. 국가보훈콘텐츠 공모 수상. 둔촌이집문학상 외 다수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ISSUE

뉴스댓글 >

많이 본 뉴스

초·중·고

대학

공무원

로스쿨

자격증

취업

오피니언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