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교육 주체 31,900명 대상 설문조사 진행, 10명 중 8명은 ‘반대’
[공무원수험신문, 고시위크=이선용 기자] 교육부가 추진하는 교육전문대학원에 대한 국민과 교육 주체의 생각을 확인할 수 있는 설문조사 결과가 14일 발표됐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인 강득구 의원(더불어민주당, 안양만안)과 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는 14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교육부의 교육전문대학원 도입 정책에 대한 교육 주체 31,900명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지난 1월 26일부터 2월 9일까지, 전국의 현직·예비 교원, 학부모, 대학 진학 희망자, 일반 대학생과 졸업생, 시민, 교수 등 교육 주체 31,9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 ‘교육부에서 추진하는 교육전문대학원 도입’ 정책에 대해 응답자의 81.5%가 ‘동의하지 않는다’라고 답했다. 반면, 찬성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14.2%에 그쳤다.
교육전문대학원 도입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대답한 교육 주체 26,010명 중 40.1%는 그 이유로 ‘교육전문대학원 도입이 교원의 전문성이나 역량 확보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 보기 때문’이라고 답변했다.
이는 교육부가 교육전문대학원 도입을 추진하기 위한 명분으로 내세운 ‘교원의 전문성과 역량 확보’와 정면으로 배치되는 결과다.
또 교육전문대학원 졸업자들에게 임용시험을 면제해주는 것에 대해서도, 응답자의 82.6%(26,369명)가 ‘동의하지 않는다’라고 밝혔다.
특히 교육전문대학원 졸업자들에게 1급 정교사 자격증을 발급해주는 것에 대해서도 응답자의 79%(25,205명)가 ‘동의하지 않는다’라고 답했다.
교육전문대학원 졸업 후 수습교사 형태로 일하고, 2년 후 평가를 통해 정교사가 되는 방안에 대해서도 응답자의 73%(23,282명)가 동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강득구 의원은 “모든 교육정책은 목표가 무엇인지 분명할 때, 국민을 설득할 수 있고 정책 집행 방법과 수단도 명확해질 수 있다”라며 “현재 교육부가 추진하려는 교육전문대학원 도입은 그 목적이 무엇인지부터 명확하지 않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충분한 숙의와 사회적 합의 과정 없이, 일단 던지고 보는 식의 낚시성 정책은 결국 예비 교원인 청년 세대와 우리 학생들에게 혼란과 상처만 가져다주는 결과를 낳을 것”이라며 “교원 양성과 임용 제도는 매우 민감한 정책이기 때문에 공정성과 형평성을 기반으로 사회적 합의를 거친 후 추진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