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앤피뉴스=마성배 기자] 국내 기업 10곳 중 6곳은 신입사원의 이른 퇴사로 채용에 투입한 시간과 비용을 잃는 ‘조기 퇴사’ 문제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이를 조직 내 중요한 이슈로 인식하고 있지만, 정작 이를 방지하기 위한 체계적 대응은 여전히 부족하다는 분석이다.
HR테크기업 인크루트가 전국 인사담당자 446명을 대상으로 ‘신입사원 조기 퇴사’ 관련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 기업의 60.9%가 신입사원이 입사 후 1~3년 이내에 회사를 떠난 경험이 있다고 밝혔다. 심지어 입사 1년을 채우지 못한 채 퇴사한 경우도 39.2%(4개월1년 미만 32.9%, 3개월 이하 6.3%)에 달했다.
채용부터 실무 투입까지 신입사원 1명당 소요되는 비용은 기업마다 차이를 보였으나, 적지 않은 기업들이 수백만 원의 비용을 감수하고 있었다. 응답자의 35.9%는 50만 원 이하라고 답했지만, 21.5%는 300만 원 이상을 들였다고 밝혔다. 그 외에도 ▲50~100만 원(17.5%) ▲100~200만 원(12.6%) ▲200~300만 원(12.6%) 등으로 집계돼, 기업마다 적게는 수십만 원에서 많게는 수백만 원의 채용 비용이 들어가는 것으로 분석됐다.
신입사원이 이처럼 빠르게 회사를 떠나는 주요 원인으로는 ▲직무 적합성 불일치(58.9%)가 압도적 1위를 차지했다. 이어 ▲낮은 연봉(42.5%) ▲조직문화와의 불화(26.6%) ▲상사·동료와의 갈등(23.4%) ▲워라밸 부족(17.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순히 급여 문제가 아닌, 직무 이해와 조직 내 소통 문제가 퇴사의 결정적 요인이 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조기 퇴사가 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선 80.5%의 인사담당자가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답했다. 이들은 ▲시간과 자원의 낭비(37.6%) ▲남은 직원들의 업무 부담 증가(32.0%) ▲팀워크 약화(15.9%) ▲전반적인 퇴사율 상승(13.9%) 등을 이유로 꼽았다.
문제는 이러한 퇴사 문제에 적극 대응하는 기업은 많지 않다는 점이다. 조기 퇴사 방지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는 응답은 전체의 34.5%에 그쳤다. 이들 기업이 운영하는 주요 제도로는 ▲장기근속 장려금 및 포상휴가(52.6%) ▲멘토링 제도(38.3%) ▲온보딩 프로그램(37.0%) 등이었다.
이번 조사는 지난 4월 14일부터 16일까지 실시됐으며,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4.43%포인트다.
피앤피뉴스 /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