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초반 자녀 교육비 지출 증가...60대 초반 평생교육원 등 문화교육 소비 상승
[피앤피뉴스=마성배 기자] 서울시 중장년층(40~64세)의 소비 패턴이 세대 간 뚜렷한 차이를 보이며, 특히 50대 이상의 소비 증가세가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50플러스재단은 9일, ‘서울시 중장년 소비 및 정보활용 트렌드 분석’ 연구보고서를 발간해 최근 5년간의 소비 변화 추이와 이를 기반으로 한 정책적 시사점을 발표했다.
연구 결과, 2024년 기준 50대 이상의 소비 금액과 건수가 큰 폭으로 증가하며 적극적인 소비 주체로 부상했다. 50~54세의 소비 금액은 2019년 대비 51.0%, 55~59세는 57.5%, 60~64세는 63.1% 증가했다. 이는 30~34세의 64.2% 증가율을 제외하고 가장 높은 수치로, 중장년층이 경제의 새로운 축으로 떠오르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온라인 소비 증가율은 50대 이상에서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50~54세는 119.2%, 60~64세는 141.7%로,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증가 폭이 커졌다. 이는 디지털 환경에서 시니어 세대의 구매력과 적응력이 확장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반면 40대는 대부분 업종에서 소비 증가세가 둔화하거나 감소하며, 소비 위축 현상이 두드러졌다. 유통, 식생활, 여가,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소비 금액 증가율이 50대와 60대보다 낮았으며, 일부 업종에서는 감소세를 보였다.
특히 유통 업종에서는 40대 소비액이 감소했으며, 식생활 소비 증가율도 30대보다 낮아 가계 부담과 생활비 절약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이는 40대가 경제적 부담이 가장 큰 연령대임을 보여주는 지표다.
교육 분야에서도 연령대별 차이가 확인됐다. 50대 초반은 자녀 교육비 지출 증가가 두드러졌으며, 학습지와 학원, 초·중·고등학교 관련 소비에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이는 출산연령 증가와 저출생 영향으로 인해 50대 초반 학부모의 교육비 부담이 커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반면 60대 초반은 평생교육원, 복지센터 등 문화교육에 대한 소비가 눈에 띄게 증가했다. 이는 중장년층의 자기 계발과 문화적 욕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서울시50플러스재단은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장년층 소비 패턴에 따른 맞춤형 정책 추진을 주요 과제로 설정했다. 특히 중장년층의 소득 안정화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온라인 소비 확산에 대응해 신직업 창출 및 경력 설계 프로그램을 확대할 예정이다.
올해 재단은 서울시 중장년층의 일자리 수요 조사를 시행해 보다 구체적이고 실효성 높은 정책을 수립할 계획이다.
강명 서울시50플러스재단 대표는 “지난 5년간 5060세대는 소비시장의 주체로 떠오른 반면, 40대는 경제적 위축이 뚜렷했다”며, “재단은 중장년층이 기대 소득을 유지하고 경제적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5060세대가 소비 경제의 주축으로 자리 잡는 동시에, 연령대 간 소비 격차가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다. 서울시는 이를 기반으로 중장년층의 소득 안정과 소비 활성화를 도모하며, 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마련할 계획이다.
피앤피뉴스 /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