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거주자면 어디든 가능…초등 8만 원, 중·고교 15만 원 제로페이 지급
[피앤피뉴스=마성배 기자] 서울에 거주하는 학교 밖 청소년이 타 시도 대안교육기관에 입학해도 입학준비금을 받을 수 있는 길이 열렸다. 그간 지역 간 제도 차이로 발생했던 교육 기회의 불균형을 해소하는 전국 첫 사례다.
서울시교육청(교육감 정근식)은 2025학년도부터 ‘서울특별시교육청 대안교육기관 및 위탁교육기관 지원 조례’ 개정에 따라, 서울시 거주 학생이 타 시도 등록 대안교육기관에 입학해도 입학준비금을 지원한다고 31일 밝혔다. 대안교육기관은 정규학교에 속하지 않는 초·중·고등 과정의 비인가 교육기관으로, 주로 학교 밖 청소년들이 진학해 학업을 이어가는 곳이다.
시교육청은 지난 1월 9일 조례 개정을 통해 전국 교육청 중 처음으로 교육청 차원에서 타 시도 등록 기관까지 지원 대상을 넓혔다.
지원 대상은 서울시에 거주하는 초·중·고등 과정 대안교육기관 신규 입학생으로, 2007년생부터 2019년생 사이에 해당하는 학교 밖 청소년이 포함된다. 신청 기간은 오는 4월부터 10월까지이며, 매월 접수할 수 있다. 신청은 서울특별시교육청 누리집(www.sen.go.kr) 공지사항을 통해 안내된다.
입학준비금은 초등과정은 8만 원, 중·고등과정은 15만 원이며, 제로페이 모바일 상품권 형태로 지급된다. 수혜 학생은 가방, 의류, 태블릿PC, 도서 등 학업에 필요한 물품을 자유롭게 구매할 수 있어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서울시교육청에 등록된 대안교육기관은 2025년 기준 총 75곳이다. 최근 몇 년간 신입생 수는 꾸준히 줄어드는 추세다. 2022학년도 254명, 2023학년도 210명, 2024학년도 153명으로 매년 감소했다. 그에 반해 타 시도 기관에 진학하는 서울 학생은 제도적 지원이 부족해 상대적 불이익을 겪어야 했다.
서울 외 다른 시도에서는 광역 또는 기초자치단체가 조례를 통해 주민 등록지를 기준으로 입학준비금이나 교복비 등을 지원하고 있으나, 그 지원 범위는 지역 단위에 따라 달라 일관성이 부족했다. 이에 서울시교육청은 이번 조치를 통해 ‘거주지 기준’의 지원 원칙을 분명히 하고, 형평성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겠다는 방침이다.
정근식 서울시교육감은 “서울 거주 학교 밖 청소년이 다른 시도의 대안교육기관에 진학해도 입학준비금을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은 전국 최초의 시도”라며 “이는 학교 밖 청소년의 학업 지속을 실질적으로 응원하는 정책”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앞으로도 교육 기회의 형평성을 높이고, 모든 학생이 소외받지 않도록 촘촘한 지원 정책을 지속적으로 펼쳐나가겠다”고 덧붙였다.
피앤피뉴스 /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