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6% 차지, 융복합 분야 활용요청 증가
[공무원수험신문=서광석 기자] 정부 민간인재 영입지원(정부 헤드헌팅)을 가장 많이 활용한 분야는 과학기술 분야인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인사혁신처(처장 김승호)는 지난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정부 민간인재 영입지원을 활용해 인재를 추천한 239건과 이들 중 최종 임용된 102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과학기술 분야의 정부 민간인재 영입지원 활용이 가장 많았다고 밝혔다.
과학기술 분야의 정부 민간인재 영입지원 추천 건수는 총 63건으로 전체 26.4%를 차지했다.
이 중 공직에 최종 임용된 인원은 총 23명으로 조사됐다.
이어 경영관리 분야가 인재 추천 51명, 임용 인원 22명으로 뒤를 이었고, 인사관리(HR)·홍보 분야가 인재 추천 34명, 임용 인원 15명을 기록했다.
이 가운데 지난 2020년부터 2021년까지 각각 1건에 불과했던 융복합 분야의 민간인재 활용요청이 지난해에만 6건을 기록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연령대별로는 50대 임용자가 60명(58.8%)으로 가장 많았고, 40대가 35명(34.3%)으로 두 번째로 조사됐다.
직종별로는 기업인 51명으로 50%였고, ▲법률·의료 등 전문직 23명 ▲연구원 11명 ▲교수 6명 ▲문화예술인 5명 ▲언론인 4명 등이었다.
기관별로는 중앙부처·지자체 등 국가기관과 공공기관이 각각 69명(67.6%), 33명(32.4%)이 민간인재 영입지원을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성연 인재정보기획관은 “지난 6월 관련 규정 개정으로 정부 민간인재 영입지원 대상이 4급 이상에 상당하는 임기제 공무원까지 확대됐다”라며 “앞으로 제도 활용이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활용도가 높은 과학기술 및 융복합 분야를 중심으로 젊은 민간인재의 공직 진출을 적극적으로 지원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