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13 노사정(勞使政) 합의로 다수의 노동자는 "헬조선" - 김윤조 교수
- 2015.10.13
- - 자유시장경제원리가 지배하는 노동시장 유연화는 삶의 질 저하(低下) 2015년 9월13일 노사정은 노동시장 유연화에 대한 대타협이 이루어졌다. 이 타협에 대한 각계의 반응의 서로 다르다. 국민의 절반 정도가 찬성하는 것으로 나 ...
- "급변하는 세상, 전통명절의 정취는 어디에..." - 정승열 법무사
- 2015.10.13
- 추석 소묘 음력 팔월 보름, 추석이다. 추석은 설과 함께 우리민족의 전통명절이지만, 세상이 급변하다보니 해가 갈수록 전통명절의 정취는 점점 퇴색하고 있다. 제 각기 바쁘게 살다보니 명절이 되어도 친지는커녕 가족 형제조차 오 ...
- [칼럼] 롯데의 경영권 다툼은 페스트의 창궐로 폐쇄된 도시 오랑인가? - 김윤조 서울사이버대 법무행정 겸임교수
- 2015.08.11
- 롯데를 경영하는 총괄회장은 74차 방정식을 푸는 신(神) 『페스트(La Peste·1947)』는 알베르 카뮈(Albert Camus·1913~60)가 쓴 장편소설로서 북아프리카 알제리 해안의 오랑(Oran)이라는 도시에 ...
- [칼럼] 그리움과 두근거림에 대하여 - 김정겸 한국외대 철학과 교수
- 2015.08.11
- 얼굴 하나야 손바닥으로 포옥 가릴 수 있지만 보고 싶은 마음 호수만 하니 두 눈을 꼬옥 감을 수 밖에 ...
- [칼럼] 그리스 재정위기 사태를 보며 - 김윤조 서울사이버대 법무행정 겸임교수
- 2015.07.28
- 강자(强者)에게 유리한 게임규칙, 약자(弱者)들의 삶은 있는가? 1999년 1월1일 독일ㆍ프랑스ㆍ이탈리아 등 11개국이 단일통화로 새로운 유럽연합(EU)라는 경제블록이 탄생되었다. 유럽 통화가 단일화되면서 독일 마르크화 ...
- [칼럼] 죽은 공자 되 살리자! - 김정겸 한국외대 철학과 교수
- 2015.07.28
- 오래전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라는 책 제목으로 인기를 얻은 저자가 있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공자가 외치는 도덕은 인간을 위한 도덕이 아닌 정치의 그리고 기득권자를 위한 도덕이라고 비판한다. 그러나 필자는 그 저자처럼 거 ...
- [칼럼] 우리 정부는 갈라파고스섬에 갇혀 있는가? - 김윤조 서울사이버대 겸임교수
- 2015.07.21
- 메르스, 국회법, 가뭄대책 등에서 국민의 기대에 부응해야 한다 갈라파고스 제도는 남아메리카로부터 1,000 km 떨어진 적도 주위의 태평양의 19개 화산섬과 주변 암초로 이뤄진 섬 무리이다. 에콰도르 영토로 갈라파고스 주에 속한다 ...
- [칼럼] 학이 6편 관계의 충실과 학문에의 여유 - 김정겸 한국외대 교수
- 2015.07.21
- 子曰弟子入則孝 자왈제자입즉효(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제자는 집에 오면 효도하고 ) 出則弟 출칙제( 밖에 나아가면 공손하며) 謹而信 근이신( 삼가고 미덥게 하며) 汎愛衆 범애중( 널리 대중을 사랑하되) 而親仁 이친인 ...
- [칼럼] 개정 국회법 제98조의2와 대통령의 거부권행사 - 김윤조 서울사이버대 겸임교수
- 2015.07.14
- 행정권의 자의적 행정법규의 제정을 통제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면 행정독재 아닌가? 2015.5.29. 여당과 야당이 공무원연금개혁법안을 합의로 통과시키는 과정에서 국회법 제98조의2 제3항을 야당이 주장하여 여당이 받아들이는 ...
- [칼럼] "해체(Deconstruction)" 하기 - 김정겸 한국외대 교수
- 2015.07.14
- “나”를 해체하는 자가 진보하는 자이다. 해체주의는 J.Derrida가 이성(logos)중심주의를 비판하며 이제껏 소외되어 온 것에 대한 중심으로의 환원을 외치는 것이다. 해체(Deconstruction)라는 단어는 “De(무 ...
- [이야기가 있는 詩] 유월의 사랑
- 2015.07.07
- 유월의 사랑 ㅣ오대혁 ㅣ 노량진 골목길에서 그들을 보았습니다 그들에게서 돌매화나무 꽃향기가 피어났습니다 향기가 없는 천상의 꽃으로 뒤범벅된 그들은 팔짱을 끼고 사랑하는 사람이라 했습니다 천상에서 몰래 한 사랑 때문에 ...
- [칼럼] 쿠바, 버려진 땅인가? 선택된 땅인가?
- 2015.07.07
- 우리의 연금(年金)논쟁에서 되돌아보게 만든 쿠바
“100세는 청년이다! 쿠바의 비밀”, 거의 1년 전 2014년 7월 13일 방송된
일요특선 다큐멘터리의 제목이다. 이를 다시 보는 순간 요즘 우리의 국 ...
- [칼럼] 우리 삶을 닮은 4계 - 김정겸 한국외대 교수
- 2015.07.07
- 봄! 청춘을 노래하다 연분홍 치마가 봄바람에 휘 날리더라/오늘도 옷고름 씹어 가며 산 제비 넘나드는 성황당 길에/꽃이 피면 같이 웃고 꽃이 지면 같이 울던/알뜰한 그 맹세에 봄날은 간다(“봄날은 간다” 유행가 가사) ...
- [칼럼] 경천근민과 태괘(泰卦)의 가르침 - 오대혁 국문학박사
- 2015.06.23
- 온갖 원성들이 들끓는다. 최고의 병원이라는 곳이 역병의 온상이 되고, 책임을 져야 할 자가 책임을 지우겠다고 나서고, 강원도 백성들은 80년 만에 지독한 가뭄을 겪는다고 했다. 대통령은 역병이 들끓고 나서야 얼굴을 내밀며 고비를 넘겼 ...
- [칼럼] 왕도(王道)와 패도(覇道) - 김윤조 서울사이버대 교수
- 2015.06.23
- 역사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는 간단하지 않다. 최근 고등학교 국사교과서 검정과 관련하여 한국 근대사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에 대해 여러 가지 평가가 있다. 어제 일본의 교세라의 창업자인 이나모리 가즈오(稻盛和夫)가 쓴 “카르 ...
- [칼럼] Non sibi(자신만을 위하지 않는) 타인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이타적 존재를 위하여 - 김정겸 한국외대 교수
- 2015.06.23
- 병든 사회에서의 탈출구 :인문. 자유교육 ‘사람임’에서 ‘사람됨’이 필요한 시대이다. 실제적 지식만을 강요하는 시대에서는 나와 관련된 그 모든 것을 수단으로 여기게 된다. 실용적 지식을 수단으로 좋은 대학, 좋은 직장을 ...
- [칼럼] 왕도(王道)와 패도(覇道) - 김윤조
- 2015.06.09
- 왕도(王道)와 패도(覇道) 김윤조 서울사이버대학 법무행정 겸임교수 역사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는 간단하지 않다. 최근 고등학교 국사교과서 검정과 관련하여 한국 근대사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에 대해 여러 가지 평가가 있다. 어제 일본의 교세라의 창업 ...
- [칼럼] Non sibi(자신만을 위하지 않는)-타인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이타적 존재를 위하여
- 2015.06.09
- Non sibi(자신만을 위하지 않는)-타인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이타적 존재를 위하여 김정겸 한국외국어대 철학과 교수 병든 사회에서의 탈출구 :인문. 자유교육 ‘사람임’에서 ‘사람됨’이 필요한 시대이다. 실제적 지식만을 강요하는 시대에서는 나와 관련된 그 모든 것을 수단으로 여기게 ...
- [칼럼] 맹신과 현실 극복의 경계 - 윤공(문화비평가, 시인)
- 2015.06.09
- 맹신과 현실 극복의 경계 윤공(문화비평가, 시인) 그녀가 남자의 집을 찾았을 때 우편함에서 처음 발견한 것은 석 달이나 밀려 있는 전기세와 수도세였다. 백면서생의 남자를 만 ...
- <김윤조 칼럼> 국가(권력)의 자화상(自畵像)
- 2015.05.06
- -국민을 절대권력으로부터 보호하는 리바이어던인가? 절대권력을 휘두르는 리바이어던인가? 요즘 세상이 너무나 어수선하다. 가장 가까이로는 이완구 국무총리가 사의(辭意)를 표명하고, 주말에는 세월호 1주기 기념식이 열리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