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피앤피뉴스=마성배 기자] 경기도와 경기도미래세대재단이 18일 수원유스호스텔에서 ‘2025년 경기 고립·은둔 청년 지원사업 포럼’을 열고 올해 사업 추진 성과와 향후 정책 과제를 함께 논의했다.
경기도는 지난 6월부터 고립·은둔 상태에 놓인 청년 500명을 대상으로 상담과 심리 회복, 일상 복귀를 지원하는 맞춤형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개인 상담뿐 아니라 부모 교육, 가족 모임 등을 통해 청년과 보호자의 회복을 동시에 돕고 있으며, 실무자 연수와 도민 인식 확산 활동도 함께 추진 중이다. 이번 포럼 역시 사회적 인식 개선을 위한 사업의 연장선에서 마련됐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경기도미래세대재단 기현주 청년본부장이 도 사업 전반의 성과와 과제를 발표했다. 이어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성아 부연구위원이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정책 방향을 설명하며 광역과 중앙의 협력 필요성을 강조했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시군 담당자, 민간기관 전문가, 당사자 청년이 토론자로 나서 현장에서의 경험을 공유했다. 이어 진행된 종합토론은 ‘오프먼트’ 장재열 작가가 좌장을 맡아 ‘광역에서 시작하는 고립·은둔 청년 지원의 확산과 지속가능성’을 주제로 논의를 이끌었다.
특히 지원사업 참여자인 배사랑 씨는 “프로그램을 통해 스스로 고립·은둔 상태였음을 처음 인정하게 됐다”며 “공공이 추진하는 사업이라 신뢰가 생겼고, 상담에 참여하면서 큰 도움을 받았다”고 말했다. 이어 “비슷한 처지의 청년들과 함께하며 용기를 얻었고, 앞으로는 이들을 돕는 역할을 하고 싶다”고 소감을 밝혔다.
오광석 경기도 미래평생교육국장은 “현장에서 제기된 의견을 토대로 고립·은둔 청년 지원체계를 더욱 촘촘히 하겠다”며 “사업 슬로건인 ‘나와, 볼만한 세상’처럼 청년들이 다시 사회와 연결될 수 있도록 꾸준히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포럼에는 김재훈 경기도의원과 중앙부처·지자체 담당자, 민간기관 관계자, 고립·은둔 청년 등 150여 명이 참석했다. 행사 후에는 참여 청년들이 직접 느낀 점을 공유하는 시간이 이어지며, 당사자 시각에서 정책 성과를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피앤피뉴스 / 마성배 기자 gosiweek@gmail.com
[저작권자ⓒ 피앤피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